대구시의회, 교통·재난·복지 현안 대응 촉구, '현장 밀착형 대책' 질타
작성일 25-07-21
페이지 정보
작성자관리자 조회 72회 댓글 0건본문
동대구복합환승센터 주차난·함지산 산불·학교복합시설 불균형 해소 등 집중 지적
스마트 주차, 특이재난 대응체계, 교육·생활 복합시설 확대 등 구체적 정책 방향 제시
대구시의회가 지난 18일 임시회 5분 자유발언에서 교통·재난·복지 등 시민 체감도가 높은 지역 현안에 대해 실효성 있는 대응책 마련을 촉구하며 적극적인 시정 개입을 요구했다.
이날 박소영 의원(동구2)은 동대구복합환승센터 일대의 주차난 해소를 위한 스마트 주차정책 전환을 강력히 주장했다.
그는 “환승센터는 고속철도·시외버스·백화점 등이 밀집한 대구의 관문임에도 불법주차, 교통 혼잡, 보행자 위협이 반복되고 있다”고 전했다.
“대구의 주차장 확보율은 특·광역시 중 최하위로, 단순 주차 공간 확충에 머무르지 말고 실시간 정보제공, 유휴부지 공유 등 기술·민간 협력이 결합된 종합적 접근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박 의원은 특히 △도시계획과 연계한 주차 종합계획 수립 △탄력적 요금제 도입 △민간 주차장 공유 활성화 등 구체적 실행 전략을 제시하며, “대구시는 타당성 용역과 함께 실행 가능한 정책으로 신속히 전환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하병문 의원(북구4)은 지난 4월 발생한 함지산 산불을 거론하며, 기후위기 시대 특이재난에 대한 선제적 대응체계 정비를 요청했다.
하 의원은 “함지산 산불 당시 5,600여 명이 대피하고 산불 3단계까지 발령된 긴급 상황이었지만, 현재까지 특이재난에 대응할 체계가 제대로 마련되지 못하고 있다”고 전했다.
“피해지역 복구는 물론, 기후재난에 취약한 지역과 계층을 사전 발굴해 맞춤형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산불을 비롯한 예측 불가능한 특이재난이 상시화된 만큼, 기존 매뉴얼에 의존하지 말고 유연하고 지속적인 정책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김주범 의원(달서구6)은 학교복합시설의 지역 간 불균형 해소와 확대 조성을 촉구했다.
김 의원은 “2023년부터 현재까지 대구 내 학교복합시설은 6곳에 불과하고, 이마저도 일부 구·군에 집중되어 지역 간 격차가 크다”고 지적했다.
“재정여건이 열악한 지역은 사업 추진이 어렵기에 대구시와 교육청이 보다 적극적으로 협력하고 예산 및 행정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한 “학교복합시설은 교육·문화·복지를 연계해 지역사회 통합에 기여하는 핵심 거점”이라며, “지자체, 교육청, 지역주민이 공동 책임 의식을 갖고 협력할 때 성공적인 조성과 운영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한편 대구시의원들은 시민 불편과 안전, 복지의 사각지대를 짚으며 실효성 있는 정책 전환과 행정 대응을 한목소리로 요구하고 나섰으며 이러한 현장 제언을 시정에 얼마나 빠르게 반영할지 주목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